분류 전체보기 87

항노화 영양제(3): 노화의 원인과 기전(노화 메커니즘)

항노화 영양제 시리즈 세번째 글입니다. 앞글들에선 노화현상이 진화의 산물이라는 점과 인류가 노화를 완전 정복할 수 있는 시대의 도래가 꿈같은 이야기만은 아닐것이라는 논의를 해보았습니다. 본 글에서는 과학기술의 힘을 통해 지금까지 인류가 알아낸 대표적인 노화의 원인&기전들에 대해 살펴보고 각각에 작용할 수 있는 항노화영양제(물질)들을 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노화의 원인&기전들 1. 세포의 손상방사능, 자외선, 대기오염, 흡연&음주, 각종 화학물질 및 중금속, 활성산소, 만성염증, SASP*1 등에 의해 세포 내 단백질, 지질, 미토콘드리아, DNA, 텔로미어 등에 손상이 생겨서 더 이상 정상적인 세포분열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됨 --> 노화세포, 좀비세포*1, 암세포 등으로 발전 2. 세포 성장 및 분열의 ..

항노화 영양제(2): 인류가 노화를 정복하게 된다면?

앞 글에서 노화의 원인 중 하나로 집단 유전자 풀 이론에 대해 소개를 드렸는데요, 사실 이 이론이 맞는게 일반적으로 국민들의 평균 수명이 높아질수록 출산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평균 수명과 출산율이 반비례 관계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 바로 앞글에서 소개한 집단 유전자 풀 이론의 일례가 될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평균 수명이 길어질수록 집단 유전자 풀의 다양성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가게 된다는 것이 바로 그 이론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개개인의 수명이 늘어나는 것이 인류 전체로 봤을때 이로운 일인지?, 그리고 각국 정부들이나 종교지도자들의 셈법은 어떨지? 하는 정치, 종교, 사회, 철학 즉, 모든 인문 분야에서의 다양한 질문들이 자연스럽게 나올 것 같습니다. 이러한 질문들 중 몇가지만..

항노화 영양제(1): 노화란 무엇인가? 인간은 왜 늙는가?

지금까지 종합비타민&미네랄 제제, 오메가3 보충제, 코큐텐, 비타민K2, 프리&프로바이오틱스, 항산화 영양제 등에 대한 글들을 연재 했었는데요, 지금부터는 20년 전만 해도 거의 상상하지 못했던 항노화 영양제들에 대한 이야기를 시리즈로 연재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항노화 영양제 시리즈 첫번째 글로서 노화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인문학적&과학적 고찰을 해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필자는 과학기술인이면서 기독교 신앙을 (약간) 가지고 있는데 신의 존재에 대해선 불가지론에 더 가깝습니다. 1. 노화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노화와 죽음은 인간의 원죄에서 비롯 --> 거스를 수 없는 신의 뜻(예수님을 믿음으로서만 영의 구원을 받음). 2. 노화에 대한 불교적 이해: 노화를 포함한 생로병사는 자연스런 윤회의 한 과정 ..

고지혈증/고혈압/당뇨의 공통적인 주 원인은? (ft. 탄수화물)

탄수화물&당의 비중이 높은 식단의 장기적인 섭취가 당뇨의 원인이라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상식이지만 고지혈증과 고혈압의 원인도 된다는 사실은 아직 많은 분들이 잘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점을 많은 분들과 공유하고 싶어서 본 글을 게시합니다. 일단, 결론부터 먼저 말씀드리면, 1. 당뇨의 주 원인: 고인슐린저항성(탄수화물 과다 섭취)2. 고지혈증의 주 원인: 혈관내벽 만성염증(탄수화물&오메가6 과다 섭취 + 혈중 호모시스테인 과농도*1)3. 고혈압의 주 원인: 혈관내벽 만성염증(탄수화물&오메가6 과다 섭취 + 혈중 호모시스테인 과농도) + 고칼슘혈증(플라그) 네 맞습니다. 고지혈증/고혈압/당뇨의 공통적인 주 원인은 소금이나 고포화지방 음식이 아니라 바로 고탄수화물 음식의 장기..

항산화 영양제? 항산화 네트워크? (ft. 비타민C&E, 비타민B6, 셀레늄, 코큐텐, NMN, 안토시아닌, ..)

본 글에서는 세포 노화와 관련된 활성산소와 그 활성산소를 억제해줄 수 있는 각종 항산화 영양소들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이 글은 업체의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전적으로 개인적인 판단에 기반한 글입니다. 혹 틀린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활성산소활성산소는 인체 내에서 호흡과 여러 대사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라디칼 중 산화력이 강한 라디칼을 통칭하는 용어로, 슈퍼옥사이드라디칼(O2-),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실라디칼(OH-)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이들은 그 큰 반응성으로 인하여 방사선, 자외선 등과 함께 세포 노화의 가장 큰 주범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가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 활성산소 라디칼들은 무조건 제거해주어야 하는가? 하면 또 그렇지는 않은게 면..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신바이오틱스?, 포스트바이오틱스? 도대체 어떤 걸 먹어야 하나?

유산균 제품들이 장 건강 뿐 아니라 위 건강과 면역 건강에도 효과가 있음이 점점 밝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점점 대중화 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나도 뭔가를 먹어야 하나 하는 질문을 한번쯤은 해보실텐데요, 오늘은 이 수많은 유산균 제품들 중에서 과연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나?" 하는 질문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먼저 제목에 언급한대로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신바이오틱스, 포스트바이오틱스 각각에 대해 순서대로 다뤄본 후 마지막에 최종적인 결론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참고로, 이 글은 업체의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전적으로 개인적인 판단에 기반한 글입니다. 혹 틀린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말 그대로 유산균(대표적으로 소장에서 활약하는 락토바실러스균과 ..

종합비타민미네랄 영양제(종합영양제) 외에 추가로 섭취해야 할 영양제는? (비타민K2, 코큐텐, 비타민C, 마그네슘, TMG, 오메가3, 유산균, 우루사..)

종합비타민미네랄 영양제(이하 종합영양제) 복용에 대한 앞서의 글( 종합비타민&미네랄 보충제는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 (tistory.com) )에서 비타민K2를 조금 언급하다 말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비타민K2를 포함해서 한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종합영양제에서 미처 제공해주고 있지 못하거나 부족하게 제공해주는 영양소들에 대한 얘기를 좀 해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이 글은 업체의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전적으로 개인적인 판단에 기반한 글입니다. 혹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국내 종합영양제에서 제공해주고 있지 않으므로 따로 추가해줘야 하는 영양소들 (비타민K2, 코엔자임큐텐)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종합영양제에서 제공해주고 있지 않는 영양소에는 1. 비타민K2, 2...

건강하고 균형잡힌 식단에 대해서 (ft. 탄지단442(중탄중지) & 지방산6631)

(본 글은 필자가 제창한 탄지단442-지방산6631 식단을 처음으로 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본 글대로 실천해보시고 혹 변화된 모습들이 있으실 경우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최적의 탄지단(탄수화물/지방/단백질) 비율 (4:4:2)현재 우리나라의 표준 영양성분표 기준에 의하면 권장 탄지단 비율이 칼로리 기준으로 대략 6.5 : 2.4 : 1.1이고, 케토제닉(저탄고지) 다이어트의 경우엔 대략 2:6:2, 그리고 닭가슴살 위주의 저탄고단 다이어트의 경우엔 이 비율이 대략 2:2:6 정도입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이렇게 탄지단 중 어느 하나의 비중만 극단적으로 큰 식단은 장기적으로 시행시 모두 여러가지 치명적인 부작용과 문제점들이 있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건강 수명을 높..

종합비타민&미네랄 영양제는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 (합성vs천연vs활성, 및 복용량)

(이 글은 어떠한 업체의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전적으로 개인적인 판단에 기반한 글이므로 혹 틀린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국내 유통 종합영양제의 분류1. 활성&중함량 비타민B군 위주의 종합영양제(일반의약품): 아로나민골드 프리미엄(활성성분: B1&B2&B6), 메가트루 골드(활성성분: B1), ...2. 활성&고함량 비타민B군 위주의 종합영양제(일반의약품): 비맥스 제트(활성성분: B1&B2&B6&B12), 벤포벨S(활성성분: B1&B12), 임팩타민 원스(활성성분: B1), 메가트루 맥스(활성성분: B1&B6), ...3. 비활성&합성&저함량 종합영양제(건기식): 센트룸, 네이처메이드, 고려은단 올인원(비타민E는 천연), ...4. 비활성&합성&중함량 종합영양제(건기식): ..

바흐 평균율 1권 1번~12번 연주영상 설명 글 및 링크 (Bach Well-Tempered Clavier Book.1 1~12)

제가 유튜브( 바흐 평균율 - YouTube )를 운영하기 시작한 지도 벌써 4개월이 지났는데요, 첫번째 시리즈로 바흐 평균율 1권의 프렐류드와 푸가 곡들을 차례차례 올리고 있고 (현재 12번까지 총 24곡 완료!!) 1권이 끝나면 (대략 올 10~11월 정도쯤) 두번째 시리즈인 바흐 평균율 2권의 곡들을 차례차례 올릴 예정입니다. 유튜브의 재생목록도 평균율 1권 48곡, 2권 48곡 이런 식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바흐 평균율 2권 부터는 음질 개선을 위해 아이폰 삼각대를 구매하여 피아노에서 조금 간격을 둔 채 녹화할 예정입니다.^^ 그런데 현재 유튜브에 제 연주영상을 올릴때마다 짧은 설명 글을 같이 올리고 있는데 그 설명 글들이 음대 교수님 등 전공자님들이 봤을때도 과연 공감할 수 있을지가 늘 궁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