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6

텔로머라제 효소를 억제시키는 파이토케미컬들

오늘은 텔로머라제 효소를 비활성시켜서 세포 수명 나아가 사람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파이토케미컬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참고로, 2017년 12월에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라는 저널에 실린 "Telomerase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and Their Anticancer Potential"이라는 제목의 논문(Telomerase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and Their Anticancer Potential - PMC)과 2022년 3월에 Molecular Medicine Reports라는 저널에 실린 "Τelomerase inhibitors and activators in aging ..

MCT & 코코넛 오일의 놀라운 효능들 및 적정 섭취량

오늘은 필자도 최근에 알게되어 그 다양한 효능에 매료된 MCT & 코코넛 오일에 대해 글을 올립니다. MCT오일은 코코넛오일에서 한번 더 유효성분들을 추출한 오일인데요, MCT오일(C8/C10)과 코코넛오일(C8/C10/C12)에 있는 C8/C10/C12 지방산들은 모두 중쇄포화지방산으로 C값(탄소 갯수를 나타내는 값)이 낮기 때문에 일반 포화지방산들에 비해 흡수율도 높고 또한 포도당 못지 않은 에너지원인 케톤체*1로의 변환 효율도 매우 높아서 신체 장기(특히 뇌) 및 근육들에 즉각적인 에너지를 공급해줄 수 있는 고효율 지방산입니다([지방산] 라우르산 Lauric acid : 네이버 블로그). 그리고, 이와 함께, 뇌/간/위/장 건강 및 항암 효능까지 가지고 있는 놀라운 식용 기름입니다. 그럼, 시작하겠..

꼭 섭취해야하는 기름들의 식단별 일일 섭취량

꼭 섭취해야하는 기름들의 식단별 일일 섭취량에 대해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표와 함께 아래 설명도 같이 참조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MCT오일(또는 코코넛오일)과 올리브유(또는 아보카도유)의 경우 식후 보다는 식중, 식중 보다는 식사시작 섭취가 가장 좋습니다. 식전 즉 식사 5~10분전에 음용하는 것도 나쁘진 않지만 이 경우 위장장애나 위불편감 등 부작용이 좀 보고되는 것 같습니다. 제 경우엔 식사 시작과 함께 바로 음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아래를 잘 참조하셔서 건강과 다이어트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으시길 바라겠습니다^^. 1. 위 표에서 탄지단442 #1은 고기&잡곡밥 위주, 탄지단442 #2는 고기&생선&잡곡밥 위주, 탄지단172는 고기 위주의 식단이 되겠습니다.2. ..

비건 등 장기적인 채식 위주 식단이 건강에 안좋은 이유

오늘은 제목대로 채식주의의 문제점들에 대해 논하는 글을 올리고자 합니다. 인도, 홍콩의 예국민의 대부분이 평생 채식과 곡물식 위주의 식단을 실천하고 있는 인도는 평균 수명이 남자의 경우 60대 후반, 여자의 경우 70대 초반으로 평균 수명이 가장 낮은 국가군에 속해 있습니다. 반대로 홍콩의 경우 전 세계에서 일인당 육류 소비가 가장 많은 나라인데도 불구하고 남녀 평균 85.8세로 일본과 함께 평균 수명이 가장 긴 국가군에 속해 있습니다. 인도는 위생이 안좋기 때문에 홍콩과 직접적인 비교를 하기는 좀 그럴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래서 미국의 예를 함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의 예미국은 미국심장학회와 WHO의 지침을 가장 잘 따르고 있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암/심혈관질환/당뇨 환자들의 수..

연령대별 영양제 조합

오늘은 각 연령대에서 섭취가 필요한 영양제 조합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아래 표를 참조해주시기 바라구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표 아래부터 서술하였습니다. 1세~10세1세에서 10세 사이에는 대부분 (부모들에 의해) 음식을 통한 균형잡힌 영양이 공급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비타민C와 비타민D3만 영양제 형태로 섭취하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필요하다고 판단시 어린이용 멀티비타민&미네랄제제, 오메가3(해양성&육지성(아마씨유)), 유산균(프리&프로바이오틱스) 등도 함께 섭취하도록 해주시는 것도 나쁘진 않다고 판단됩니다. 10대10대는 과도한 공부 등으로 인하여 스트레스와 활성산소들이 신체를 공격하기 시작하는 첫번째 연령대라고 판단됩니다. 과도한 스트레스와 활성산소는 장균총과 면역체계..

간을 보호해주는 식단 및 영양제 조합

오늘은 모든 분들의 관심사 중 하나인 간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올해 만 56세(68년도생)인 필자의 경우 아래 사진과 같이 AST(GOT) = 22, ALT(GPT) = 18, GGT(감마GTP) = 28, 빌리루빈 = 0.7로 모두 정상 상한치의 절반 정도 또는 그 이하 수준으로 아주 양호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GGT 수치가 낮다는 것은 간 뿐 아니라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가 나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이 안좋아지는 원인들1. 독소의 과잉 유입: 활성산소&래디컬, 과도한 음주, 과도한 약물 복용(타이레놀 등), 과도한 식품첨가물들, 중금속, 장누수증후군, 호모시스테인, SASP(노화좀비세포 분비물) 등등..2. 해독 처리 능력 저하: 비만/당뇨(지방간/인슐린..

건강한 한끼 식사가 가능한 한솥 도시락의 소불고기 사각도시락 (ft. 시식후기, 내돈내산)

지난번 서브웨이 안창비프 시식후기(지중해식 건강한 한끼 식사가 가능한 서브웨이 샌드위치 (ft. 안창비프 샌드위치/스테이크&치즈 샌드위치 시식 후기) (tistory.com))에 이어 오늘은 한솥 도시락 시식후기를 올립니다. 필자의 경우 매운거, 튀긴거, 그리고 직화한 음식을 거의 먹지 않는 습성때문에 일반 편의점 도시락은 아예 손을 대지 않는데요, 한솥도시락도 마찬가지겠거니 했는데 최근 우연히 매장에 방문하여 소불고기 사각도시락을 먹고나서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일단, 사진을 먼저 보여드리면,  네 맞습니다. 보시는거와 같이 튀기거나 직화한 반찬이 아예 없습니다!^^ 사진의 구성을 설명드리면, 소불고기(적은밥, 5,700원) + 완도미역국(1,200원) + 김치추가(400원) = 7,300원 입니다. 먼..

지중해식 건강한 한끼 식사가 가능한 서브웨이 샌드위치 (ft. 안창비프 샌드위치/스테이크&치즈 샌드위치 시식 후기)

필자가 최근 서브웨이(써브웨이, SUBWAY)에 두세번 방문해서 안비샌(안창비프 샌드위치)과 스치샌(스테이크&치즈 샌드위치)을 먹어본 일이 있었는데요, 그 결과 버거킹, 맥도날드, 롯데리아, 프랭크버거 등 대중적인 패스트푸드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부분들을 여럿 발견하였고 이에 대한 시식후기를 아래와 같이 건강 관점에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분쇄육이 아닌 리얼 스테이크용 고기의 마일드한 조리대부분의 패스트푸드점들은 분쇄육 기반 고기 패티를 직화로 (웰던 상태를 초과해서) 거의 태우다시피까지 하는데, 서브웨이의 안비샌과 스치샌의 경우엔 리얼 스테이크용 고기를 미디엄웰던~웰던 정도로 마일드하게 조리함.  다양한 야채대부분의 패스트푸드점들의 버거나 샌드위치에는 3~5 종류 정도의 야채가 들어가는 반면, 서브웨이의..

어쩔 수 없이 제로슈거(대체당)을 선택해야 한다면? (ft. 알룰로스)

당뇨, 비만, 가속노화, 만성염증 등 현대인들이 고통받고 있는 질환의 가장 큰 원인이 바로 정제탄수화물 그 중에서도 설탕인데요(고지혈증과 고혈압의 원인 중 하나는 바로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입니다!(ft. 고혈압&고지혈증 수치 낮추는 방법) (tistory.com)), 설탕 섭취 자체를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이 되겠지만 그것이 어려울 경우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제로슈거(대체당) 제품들을 지혜롭게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지 않을까 판단됩니다. 제로슈거 제품들의 경우 인공감미료, 당알코올, 천연당 등 여러 종류의 대체당들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필자의 경우 여러 제품들을 먹어봤지만 알룰로스(천연당)를 제외하고 맛에 있어서 설탕을 대체하는 수준까지 도달한 제품들은 거의 없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최..

수십년동안 아토피가 급증한 이유 및 해결책

필자가 10대때인 1980년대만 해도 반에서 아토피(피부염)로 고생하는 친구들이 필자를 포함해서 60명 중 두세명 정도였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그런데 40년이 지난 현재에는 그 비율이 10명 중 두세명 정도로 40년 전에 비해 거의 4~5배 급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아토피에 대한 얘기를 써보고자 합니다. 수십년 사이에 아토피가 급증한 이유들1. 주거문화의 변화: 아파트 문화로 바뀌면서 새집증후군의 한 형태로 아토피 발생.2. 환경호르몬/미세플라스틱 섭취 비율의 증가: 플라스틱/페트 용기의 대중화로 환경호르몬/미세플라스틱 섭취 비율이 급증.3. 음식/식재료 문화의 변화: 최근에 제가 블로그에 올린 글( 수십년동안 성인병을 포함한 각종 질병이 폭발적으로 증가되어온 원인 (tis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