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협주곡 top7 II 4. 라흐마니노프 피아노협주곡 3번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우며 또한 가장 어려운 피아노협주곡이라는 평을 듣고 있는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협주곡 3번. 당시 귀족계급이었던 라흐마니노프가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기 전에 일치감치 미국에 피신 & 체류하면서 완성시킨 곡이 바로 이 곡인데 초연시에는.. 피아노와 인생 2009.06.22
피아노 협주곡 top7 I 일반인들에게는 피아노 소나타 보다는 피아노 협주곡이 더 popular 한 것 같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소나타 보다는 협주곡이 오케스트라의 협연에 힘입어서 그런지 좀 더 화려한 느낌과 함께 뭔가 후련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해주기 때문일 것이다. 필자가 가장 처음 접해본 피아노 협주곡.. 피아노와 인생 2009.06.22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선율 II 6) 모짜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2악장: 엘비라마디간처럼 핸드폰의 컬러링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는 평온한 선율의 대명사인 곡. 온 몸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확실하게 풀어주는 곡.^^ 평온함과 아름다움에 굶주려 있는 현대인이라면 반드시 한번쯤은 들어봐야 하는 must hear 인 곡. 필자가 한때 컬.. 피아노와 인생 2009.05.04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선율 I 음악이란 무엇일까? 왜 음악을 들으면 평온해지기도 하고 명랑해지기도 하며 어쩔땐 감격의 눈물을 흘리기까지 하는 것일까? Wikipedia 백과사전은 음악을 '소리와 무음으로 구성되어지며 시간으로 표현되는 예술형태'로 정의하고 있으나 뭔가 아쉽다. 물론 음악을 과학자의 시각으로도 분석할 수 있을 .. 피아노와 인생 2009.05.04
팽이, 전자, 그리고 지구 III (고전/양자/천체) 이제 팽이, 전자, 그리고 지구의 마지막 편인 지구에 대해 얘기할 차례이다. 결국 팽이와 전자와 지구의 공통점에 대해서 얘기를 하려고 했던 건데 이야기가 길어진 것 같다. 사실 제대로 하자면 거의 책 한 권 분량이 될 수도 있는 그러한 주제였던 건데 뭘 모르고 덤볐던게 화근이었던 것 같다. 어쨋.. 재밌는 과학 2009.04.23
팽이, 전자, 그리고 지구 II (고전/양자/천체) 앞글에서 팽이의 세차운동에 대해 얘기하면서 원자핵과 지구도 그러한 운동을 한다는 사실에 대해 짧게 언급하고 지나갔었는데 본 글에서 그것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먼저 원자핵이나 전자의 경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원자핵과 전자도 아주 작은 팽이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그.. 재밌는 과학 2009.04.23
팽이, 전자, 그리고 지구 I (고전/양자/천체) 어린시절 팽이치기를 안해본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여자는 잘 모르겠지만..^^) 먼저 팽이를 운동장의 흙바닥에서 돌려보자. 그러면 팽이는 처음 박힌 위치에서 돌게 되는데 처음 박힐때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축 자체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느리게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 회전축.. 재밌는 과학 2009.04.18
내가 좋아하는 피아니스트 III 4. 아르카디 볼로도스 (Arcardi Volodos) 72년생의 러시아 출신 젊은 피아니스트. 내가 그의 연주를 처음 접한 건 2001~2002년 쯤 서울 종로의 뮤직랜드 클래식 코너에서 여종업원이 추천한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3번 CD를 통해서였다. (그 여종업원이 폴리니를 좋아한다고 해서 한참 동안 피아노 음악에 대해 얘.. 피아노와 인생 2009.04.18
쇼팽의 슬픔과 발라드 4번 II 세계 4대 교향곡의 하나인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6번 비창의 1악장을 들어보면 제 1 주제가 바로 베토벤의 동명의 피아노 소나타인 8번 비창의 1악장 서두 주제와 닮아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쇼팽의 발라드 4번의 경우에도 그 main 주제가 바로 베토벤의 비창 소나타 1악장의 서두 주제와 역시 닮아.. 피아노와 인생 2009.04.18
방충망을 통해 가로등을 보면 왜 퍼져보일까? (광학) 필자가 대학원 시절 야심한(?) 여름밤에 기숙사 라운지에서 TV를 보고 있다가 우연히 방충망을 통해 밖을 내다본적이 있었는데 그때 가로등의 빛이 위아래 그리고 양옆으로 퍼져 보이는 것을 보게 되었다. 방충망으로 보는 가로등은 늘 저렇게 십자가 모양처럼 길쭉하게 퍼져 보인단 말이야 하고 속으.. 재밌는 과학 2009.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