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5

항노화 영양제(10): 타우린 (mTor억제 및 텔로미어 보호)

오늘은 유명한 피로회복제 성분 중 하나인 타우린의 항노화 효과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합니다. 타우린(Taurine)타우린은 아미노기에 카르복실기 대신 설폰산기(황화합물)이 결합되어 있는 슈도아미노산으로 비록 단백질을 구성하는 물질은 아니지만 우리 인체내에서 과발현된/과억제된 교감신경을 안정화해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타우린 - 나무위키). 타우린은 그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혈압과 신경을 안정화 시키고 심장근육이 원활히 기능할 수 있도록 해주어 심혈관질환/안질환/뇌질환(치매) 등을 예방해주고 치료해주는 아주 고마운 역할을 하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피로회복제 들어있는 `타우린`, 치매 치료효과가…). 또한 타우린은 세포 내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안정성을 유지해주고 미토콘드리아의 활동성을 ..

항노화 영양제(9):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ft. 텔로미어)

오늘은 피부 건강 및 미용 성분으로 엄청 유명한 히알루론산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효능 중 하나인 텔로머라제 활성 효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Hyaluronan)이란?콜라겐/엘라스틴과 함께 피부 진피를 구성하고 있는 히알루론산(히알루론산 - Daum 백과)은 고분자 다당류의 일종으로 자신 무게의 최대 천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포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피부 건강에 필수적인 성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히알루론산은 피부 뿐 아니라 힘줄, 인대, 관절/연골, 눈점막, 혈관벽 등 인체의 모든 결합조직에서도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히알루론산의 역할을 한마디로 규정한다면 점막/결합조직 등을 지탱해주고 있는 모든 세포들을 보호하는 역할이라고 할..

항노화 영양제(8): 프레그네놀론 vs DHEA

오늘은 회춘 호르몬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DHEA와 그것의 전구체인 프레그네놀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참고로, 프레그네놀론의 전구체가 바로 콜레스테롤(LDL/HDL)이어서 우리 몸에서  콜레스테롤 --> 프레그네놀론 --> DHEA  순서로 만들어집니다). 콜레스테롤(항노화 호르몬인 프레그네놀론의 전구체)심혈관 질환의 주범이라는 억울한 누명을 오랫동안 쓰고 있는 콜레스테롤(LDL/HDL)은 프레그네롤론/DHEA를 포함한 모든 필수 호르몬들과 생체막 그리고 담즙 생성에 없어서는 안되는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몸에 좋은 역할을 하는 콜레스테롤이 결핍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이 골고루 들어있는 붉은색 육류 섭취를 늘려야 하는데요, 붉은색 육류 섭취를 제한..

배드푸드(건강을 해치는 나쁜음식) Top 14

오늘은 건강에 위협이 되는 나쁜음식 즉 배드푸드에 대해 필자가 생각하는 Top 14을 나열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어 또 정크푸드 얘기인가?" 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계실까봐 정크푸드와 배드푸드의 차이점을 먼저 짧게 짚어보고자 합니다.  정크푸드(Junk Foods) vs 배드푸드(Bad Foods) 정크푸드는 직역하면 '쓰레기 식품'으로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 등 고열량&저영양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음식들을 일컫는 기존 용어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시대가 바뀌어서 패스트푸드이면서 몸에 나쁘지 않은 음식들도 생겨나고 있고, 반대로 패스트푸드가 아닌데도 건강을 해치는 음식들도 생겨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그래서, 이제는 정말 개개인 본인들이 스스로의 건강을 챙겨나가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고 판단되고 그러한 의..

채소/견과류/곡류/콩류/과일 등 식물 식재료의 옥살산(염) 함유량

일전에 제가 쓴 글(비건 등 장기적인 채식 위주 식단이 건강에 안좋은 이유)에서 채식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하면서 옥살산에 대한 언급을 잠깐 했었는데요 오늘은 이 옥살산 또는 옥살산염(옥살레이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옥살산(염)의 위험성식물독소(파이토케미컬) 중 하나인 옥살산염은 옥살산과 칼슘 등 미네랄이 합쳐셔서 생긴 화합물로 바늘 같은 특이한 결정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과량 장기 섭취시 인체에 수많은 질병을 야기시키는 독극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실제로 한번에 20~30g 섭취시 사망 가능성이 있습니다). 옥살산염이 일으킬 수 있는 질환들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개조식으로 정리해봅니다:1. 신장질환/신장결석2. 관절통증/관절염3. 위장관질환/장누수증후군4. 퇴행성뇌질환/자폐증..

로버트 러프킨(UCLA의대) 교수의 '내가 의대에서 가르친 거짓말들'

책을 사서 읽은 건 아니지만 UCLA 의대의 로버트 러프킨 교수의 "Lies I Taught in Medical School(내가 의대에서 가르친 거짓말들)"이라는 책이 아마존 종합 1위를 했다고 합니다. 국내 번역본도 최근 발매가 되었기 때문에 건강과 장수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한번 사서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 책을 소개하고 있는 유튜브 동영상을 아래와 같이 공유해 봅니다.  유튜브 채널(선명한 지구인): https://www.youtube.com/watch?v=Prqlmd2pVQ4

고추가루에는 텔로미어를 짧아지게 하는 성분이 있습니다. (ft. 캡사이신)

지난번 후추에 이어, 이번엔 고추가루와 텔로미어의 연관성에 대하여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제목대로 고추가루에는 텔로머라제를 억제하는 성분(캡사이신)이 있기 때문에 장수를 원하시는 분은 가급적 매운 음식을 피하셔야 합니다. 캡사이신캡사이신(capsaicin) 또는 캡사이시노이드(capsaicinoid)는 고추 등 매운 식물에 주로 들어 있는 알칼로이드 파이토케미컬입니다. 매운맛을 담당하는 성분으로 이전 글(비건 등 장기적인 채식 위주 식단이 건강에 안좋은 이유)에도 언급했듯이 해충들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식물이 만들어내는 독소(파이토케미컬) 중 하나입니다.  캡사이신은 텔로머라제를 억제하는 물질캡사이신이 텔로머라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은 많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만 구글 검..

후추에는 항암 효능 및 텔로미어 길이 연장 효능을 동시에 갖고 있는 성분이 있습니다(ft. 피페린(piperine))

앞서의 글(텔로머라제 효소를 억제시키는 파이토케미컬들)에서 건강수명 및 장수를 누리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파이토케미컬들의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음을 피력했는데요, 그 글의 근간이 되었던 두 편의 논문에 후추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따로 후추에 대해 검색&공부해보았고 그 결과를 본 글에서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일단, 제가 참고한 논문들을 아래와 같이 리스팅 해봅니다: 1. 후추(피페린)의 항암 기전1: Piperine analogs arrest c-myc gene leading to downregulation of transcription for targeting cancer | Scientific Reports, Scientific Reports, vol 11, Article number: 22909 (2..

숯불구이를 비롯한 직화 고기는 가공육 못지 않은 정크푸드입니다.

한국에서 2000년대까지만 해도 식단의 화두는 '맛'이 아니라 단연 '웰빙'이었습니다. 그런데 201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먹방 관련 예능 및 유튜브 채널의 폭발적인 등장으로 인하여 '웰빙'이라는 단어는 쑥 들어가고 '불맛', '바삭함', '화끈한 맛', '직화', '소스' 등 맛을 자극하는 단어들이 대세가 되었고 현재 그 추세가 더욱 고착화되고 있는 실정인 것 같습니다. 이제 먹는 것 앞에서 '웰빙'이니 '건강'이니 하는 단어를 언급하는 사람은 거의 사라진지 오래이며 슬프게도 '맛'에 대해서만 얘기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고깃집들은 숯불구이도 부족해서 연탄불 구이도 도입하는 등 더욱 더 직화구이 방향으로 바뀌어나가고 있는 것 같아 너무도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빨리 그러한 추세..

텔로머라제 효소를 억제시키는 파이토케미컬들

오늘은 텔로머라제 효소를 비활성시켜서 세포 수명 나아가 사람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파이토케미컬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참고로, 2017년 12월에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라는 저널에 실린 "Telomerase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and Their Anticancer Potential"이라는 제목의 논문(Telomerase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and Their Anticancer Potential - PMC)과 2022년 3월에 Molecular Medicine Reports라는 저널에 실린 "Τelomerase inhibitors and activators in ag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