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영양제 이야기

항노화 영양제(8): 프레그네놀론 vs DHEA

차한잔의여유 2025. 3. 18. 03:06

오늘은 회춘 호르몬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DHEA와 그것의 전구체인 프레그네놀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참고로, 프레그네놀론의 전구체가 바로 콜레스테롤(LDL/HDL)이어서 우리 몸에서  콜레스테롤 --> 프레그네놀론 --> DHEA  순서로 만들어집니다).

 

콜레스테롤(항노화 호르몬인 프레그네놀론의 전구체)

심혈관 질환의 주범이라는 억울한 누명을 오랫동안 쓰고 있는 콜레스테롤(LDL/HDL)프레그네롤론/DHEA를 포함한 모든 필수 호르몬들과 생체막 그리고 담즙 생성에 없어서는 안되는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몸에 좋은 역할을 하는 콜레스테롤이 결핍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이 골고루 들어있는 붉은색 육류 섭취를 늘려야 하는데요, 붉은색 육류 섭취를 제한하라고 하는 앵무새 의사들의 말은 다 거르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혈관플라그/동맥경화 등 심혈관 질환의 주범은 콜레스테롤이 아니라 바로 1. 높아진 혈당, 2. 최종당화산물, 3. 호모시스테인, 4. 칼슘 등이고(고지혈증/고혈압/당뇨의 원인은 바로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입니다!!), 콜레스테롤은 호모시스테인/최종당화산물 등에 의해 야기되는 혈관 내벽 염증들을 감싸서 치료해주는 아주 고마운 치료제입니다(즉 심혈관 질환의 근본 원인은 콜레스테롤이 아니라 바로 염증입니다). 즉, 염증 수치는 그대로 놔두면서 콜레스테롤 수치만 낮춰주는 스타틴 계열의 처방약들이야말로 인체의 모든 대사와 기능을 망가뜨리는 아주 악질적인 나쁜 약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프레그네놀론(회춘 호르몬인 DHEA와 항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전구체)

프레그네놀론(Pregnenolone)은 부신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들과 부신 및 생식기 등에서 생성되는 성호르몬들의 가장 처음의 전구체 호르몬으로 '호르몬의 어머니(mother of hormone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호르몬입니다. 프레그네놀론은 대부분 부신에서 콜레스테롤을 재료로 합성되는데요(뇌에서도 소량 생성), 즉 앞 문단에서도 언급했듯이, 콜레스테롤이 결핍될 경우 이렇게 중요한 프레그네놀론의 생성이 제한되어 우리 몸의 모든 대사와 기능이 망가지기 시작하는 걸로 보시면 됩니다. 프레그네놀론이 결핍될 경우 가장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 호르몬이 바로 성호르몬들의 전구체이자 회춘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 DHEA(DeHydro EpiAndrosterone) 호르몬이고 그 다음이 바로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항하기 위해 분비되어야 하는 항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 호르몬입니다. 즉, 우리 몸의 모든 대사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프레그네놀론의 생성이 결핍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하며 그렇기에 부신의 기능이 늘 짱짱해야 합니다*1.

 

DHEA(성호르몬들의 전구체)

DHEA는 위 문단에서 언급했듯이 성호르몬들의 전구체로 DHEA의 생성이 충분하면 남성 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의 분비가 원활하게 되어 나이는 말 그대로 숫자에 불과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외국에서는 프레그네놀론 영양제보다 이 DHEA 영양제가 더 유명하고 약간 더 비싼 값에 팔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DHEA는 남성 호르몬(안드로겐/테스토스테론)의 전구체 역할은 100% 이지만 여성 호르몬의 경우엔 프로게스테론의 생성엔 관여하지 않고 오로지 에스트로겐의 생성에만 관여하기 때문에 여성 보다는 남성에 좀 더 타겟팅된 호르몬이 아닌가 하는 판단입니다(즉, 반쪽짜리). 그리고 무엇보다, 다른 호르몬들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데 오로지 성호르몬들만 충만한 상태인 경우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우리 인체에 어떠한 부작용이 일어날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지 않나 하는 판단입니다. 

 

프레그네놀론 vs DHEA

앞서 언급했듯이 DHEA는 성호르몬 그 중에서도 남성 성호르몬에 좀 더 특화된 전구체인 반면 프레그네놀론은 모든 스테로이드 및 모든 성호르몬들의 최초 전구체이기 때문에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고 하면 필자의 경우 주저없이 프레그네놀론을 선택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한국에서는 DHEA 성분이 들어간 약들은 처방전 없이 구입이 불가능한 상태이고 해외직구 또한 막혀있는 상태이지만 프레그네놀론은 자유롭게 해외직구가 가능해서 여러모로 프레그네놀론 영양제에 더 큰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프레그네놀론의 구체적인 효능들

프레그네놀론은 호르몬의 어머니로서의 중요한 역할도 하지만, 자체적으로도 수많은 중요한 생리활성을 하며 신경 세포들 사이의 연락과 소통을 개선시켜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등 신체 전반적인 신경 호르몬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보건] 프레그네놀론 기억력 회복에 도움). 프레그네놀론의 구체적인 효능들에 대해서는 프레그네놀론 효능 부작용 먹는법, 자연치유 Eco Healing :: 프레그네놀론 Pregnenolone 등 웹문서들을 참조하시기 바라구요, 본 글에서는 아래와 같이 개조식으로 간략히 정리 해봅니다:

1. 신경호르몬으로서의 역할로 기억력 개선 및 뇌건강 증진

2. 세로토닌/도파민 분비를 증가시켜 정신질환(우울증/불안증 등)의 개선

3. 코르티솔 분비를 증가시켜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 및 피로의 완화

4. 부신피질호르몬(스테로이드)들의 분비를 증가시켜 염증 수치를 낮춰주고 관절/심혈관 건강 증진

5. DHEA/성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켜 성기능 및 근력 강화 & 피부 노화 방지

6.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며 살이 잘 안찌는 체질로 바꾸어줌

7. 췌장 피로도를 완화시켜 당뇨 질환 개선

8. 그 외 신체 전반적인 활력 증진 및 면역력 강화

 

프레그네놀론 영양제 

아이허브에서 검색되는 프레그네놀론 영양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50mg 심지어 100mg 짜리도 있지만 일단은 10mg 부터 시작하는게 맞지 않나 싶어서 10mg 영양제들로만 일단 소개드립니다:

Source Naturals, 프레그네놀론 10 ㎎, 120 정

Swanson, 프레그네놀론, 10mg, 캡슐 90정

Nutricost, 프레그네놀론, 10mg, 캡슐 120정

 

프레그네놀론을 영양제 형태로 복용시 부작용들

프레그네놀론은 아무래도 호르몬 그 중에서도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일종이기 때문에 프레그네놀론 영양제를 처음부터 과용할 경우 여러 부작용들이 생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프레그네놀론 과용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부작용 리스트입니다:

1. 여드름

2. 탈모

3. 얼굴발모

4. 공격성 증가

5. 조울증

6. 경련

7. 불면증

또한 이와 별개로 아래와 같은 분들의 경우엔 복용 자체를 피하셔야 합니다:

1.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

2. 성호르몬 또는 신경제제(항우울제 등) 등을 처방받아 복용 중인 사람

3. 호르몬 관련 암(유방암/난소암/전립선암 등) 병력이 있는 사람

4. 심장병 병력이 있는 사람

 

프레그네놀론 영양제 복용량 및 복용법

앞에서 언급했듯이 프레그네놀론 영양제는 과용시 부작용들이 꽤 많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목적을 확실하게 정한 후 거기에 맞게 적은 용량부터 조금씩 늘려가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맞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1. 피로 해소, 근육 강화 등 단기적(두세달 이내) 목적을 위한 일일복용량: 20mg 부터 시작해서 일주일 이상 부작용이 없으면 일주일에 10mg 씩 천천히 50~100mg 까지 늘리기. 

2. 단기적 목적 달성 후 유지 목적의 일일복용량: 단기적 목적으로 50~100mg까지 늘린 사람의 경우 매주 10mg씩 줄여서 최종적으로 10~20mg 사이가 되도록 조정.

3. 처음부터 건강 유지 목적인 경우의 일일복용량: 10~20mg

내성(약의존성) 관련: 다행하게도 프레그네놀론 영양제의 적당량&장기 복용시 내성(약의존성)에 대한 보고는 일단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강영곤의 노화방지 클리닉 < 학술-기획특집 < 기획연재 < 기사본문 - 의학신문).

복용법 및 시간: 프레그네놀론은 생체리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식사와 상관없이 기상 후 3시간 이내 복용이 가장 좋으며 점심때나 낮에 복용해도 크게 나쁘진 않습니다. 하지만 저녁 이후 또는 밤에 복용시엔 생체리듬이 깨지면서 불면증 등 부작용들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부신 기능 개선을 위한 영양소들로는 프레그네놀론/DHEA 뿐 아니라 판토텐산(비타민B5)비타민C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홍경천/아슈와간다 등 아답토젠으로 알려진 허브 물질들도 부신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대로 카페인은 부신을 피로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성분이므로 커피나 녹차는 하루 한잔 이내로 섭취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