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제목에 대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시간순으로 적어봅니다:
1. 19세기말~20세기초 프리츠하버에 의해 질소비료 대량생산 기술이 등장했고 이는 콩/옥수수 등 곡물의 대량생산으로 이어짐.
2. 19세기말~20세기초 유기용매 헥세인을 사용한 식물성 기름의 대량 추출 기술 등장.
3. 결국 20세기초중반 콩/옥수수 기반 식물성 기름의 생산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가격도 엄청나게 저렴해짐.
4. 1950년대초 포화지방이 많이 들어있는 동물성 기름이 인체에 유해하고 식물성 기름은 나쁘지 않다라는 안셀 키즈의 지질가설 등장.
5. 1955년 이후 지질가설이 대중화되면서 식재료에서 동물성 기름이 점점 축출되고 식물성 기름이 그 자리를 차지.
6. 1960년대부터 그러한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가공 식품, 과자, 가공 소스 등이 범람하기 시작.
7. 1970년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성인병과 각종 질병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
8. 1970년 중반부터 가공식품의 폐해를 소금의 탓으로 돌리기 시작. 결국 가공식품은 살아남고 소금만 억울한 누명.
9. 1980년대 이후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인병과 각종 질병들의 증가율이 수그러들지 않자 더욱 더 모든 원인을 포화지방과 소금의 탓으로 돌리고 그거에 더하여 술, 담배, 운동부족, 환경호르몬 등 몇가지들을 더 추가.
10. 하지만, 일부 사람을 영원히 그리고 모든 사람을 잠깐 속이는 건 가능하나 모든 사람을 영원히 속이는 건 불가능하다는 누구의 말처럼 2000년대 이후부터 포화지방과 소금에 씌어졌던 누명들이 하나하나 벗겨지기 시작.
결론
모든 문제의 원인은 바로 식용유(유기용매추출 식물성 기름)이고 또한 식용유가 사용된 가공식품류와 튀겨진 음식들입니다. 동물성 기름과 소금은 무죄.
'건강&영양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십년동안 아토피가 급증한 이유 및 해결책 (2) | 2024.07.19 |
---|---|
치매 예방 및 건강한 뇌를 위한 식단과 영양제 (8) | 2024.07.16 |
사망률이 최소가 되는 소금의 적정 하루 섭취량은 WHO 지침의 두세배(10~15g) 입니다. (0) | 2024.05.25 |
태초의 호르몬: 멜라토닌 (2) | 2024.04.12 |
임신과 출산을 계획하는 분들에게 필요한 영양소 정보들 (2) | 2024.02.20 |